장기투자는 “투자”만큼이나 “점검”이 중요합니다. 이번 10편에서는 1년 동안의 적립·분배·리밸런싱·비용·성과를 한눈에 정리하는 연간 점검 리포트를 만듭니다. 코어-위성 구조에 맞춘 KPI, 드리프트 진단, 기여도 분해, 내년 실행 계획까지 템플릿으로 제공합니다.
1) 왜 연간 점검인가: ‘운’이 아닌 ‘습관’의 증거 만들기
연간 점검은 복기이자 계약서입니다. ① 계획 대비 납입·분배·리밸런싱을 지켰는지, ② 수익률의 원천이 시장·배분·선정 중 어디였는지, ③ 비용과 세후 결과는 어땠는지 기록합니다. 숫자와 로그가 있어야 다음 해에 같은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2) 리포트 구성(1장 요약 + 4개 본문)
- 요약 카드(1장): 올해의 숫자 8개
- 본문 A: 성과·기여도(수익률·기여 분해)
- 본문 B: 배분·드리프트·리밸런싱 기록
- 본문 C: 현금흐름·세금·비용
- 본문 D: 규칙 준수도·내년 계획
3) “올해의 숫자 8” KPI 카드
KPI | 정의 | 올해 | 목표/기준 |
---|---|---|---|
연간 총수익률 | 배당(분배) 재투자 기준 | 예: +7.4% | 시장수익 ±3%p |
기여도(납입 vs 수익) | 잔고 증가 = 납입 + 투자수익 | 예: 납입 60% / 수익 40% | 장기일수록 수익 비중↑ |
최대 낙폭(MDD) | 연중 고점 대비 하락 | 예: -12.5% | 허용 한도 내(예:-25%) |
리밸런싱 준수 | 연1회+밴드 실행 횟수 | 예: 1회/밴드 2회 | 계획과 일치 |
드리프트 최대치 | 목표비중 대비 이탈 | 예: +6.2%p(코어) | ±5%p 내 관리 |
총비용률 | 보수+수수료+스프레드 추정 | 예: 0.23% | 전년 동등↓ |
세후 배당 재투자율 | 분배금 재투자 비율 | 예: 95% | 90% 이상 |
규칙 이탈 건수 | 시장가/중단 등 위반 | 예: 1건 | 0~1건 |
4) 성과 분석: 간단 기여도 분해
포트폴리오 수익을 두 부분으로 나눕니다. ① 시장 기여(코어 지수 상승/하락), ② 배분·선정 기여(전세계 보조, 배당·채권, 리츠 등). 초보자는 복잡한 모델 대신 다음 표처럼 비중×수익률로 추정해도 충분합니다.
자산군 | 평균 비중 | 연수익률 | 기여도(=비중×수익률) |
---|---|---|---|
국내 코어 | 30% | +6% | +1.8%p |
미국 코어 | 35% | +10% | +3.5%p |
전세계/선진국 | 10% | +5% | +0.5%p |
배당/리츠 | 15% | +2% | +0.3%p |
채권 | 10% | +3% | +0.3%p |
5) 배분·드리프트·리밸런싱 로그
목표 비중과 실제 비중의 최대 괴리를 기록합니다. ±5%p 밴드를 넘긴 시점에 신규 납입/분배금으로 먼저 보정했는지 체크합니다. 매도를 동반한 리밸런싱은 세금·체결비용을 함께 메모하세요.
월 | 이탈 자산 | 이탈폭 | 조치 | 비고 |
---|---|---|---|---|
3월 | 미국 코어 | +5.6%p | 다음 2차수 납입 전세계·채권 보강 | 매도 없음 |
9월 | 코어 합계 | +6.2%p | 연말 리밸런싱 예고 | 세금 시뮬레이션 |
6) 현금흐름·세금·비용 요약
분배금 총액, 재투자액, 현금 유지율을 정리합니다. 총보수(TER)뿐 아니라 스프레드·환전·수수료까지 합쳐 체감 비용률을 추정합니다. 세금은 계좌별(연금·ISA·일반)로 분리해 세후 수익을 확인하세요.
- 분배금 총액(세전/세후), 재투자율
- 체감 비용률 = (수수료+스프레드 추정+운용보수) ÷ 평균 자산
- 계좌별 세후 수익률 비교(연금/ISA/일반)
7) 규칙 준수도 점수(100점 만점)
지키기 쉬운 채점표를 사용합니다. 자동이체 유지(30점), 리밸런싱 실행(30점), 시장가·임의 중단 0~1회(20점), 기록 충실도(20점). 80점 미만이면 원인을 적고 개선 항목을 3개만 선정합니다.
항목 | 만점 | 점수 | 메모 |
---|---|---|---|
자동이체·재투자 유지 | 30 | 예: 30 | 중단 없음 |
리밸런싱(날짜+밴드) | 30 | 예: 25 | 밴드 1회 누락 |
무계획 행동 억제 | 20 | 예: 15 | 시장가 1회 |
기록·로그 | 20 | 예: 18 | 월 1회 기록 |
8) 내년 계획: 3줄 요약과 실행 캘린더
계획은 군더더기 없이 3줄로 정리합니다. ① 목표 비중·밴드 재확인, ② 납입/분배 재투자 규칙, ③ 환헤지·채권 비중 가드레일. 이후 월별 DCA 날짜, 분기 점검일, 연말 리밸런싱 주간을 달력에 고정하세요.
9) 템플릿(복붙용 요약 페이지)
[연간 점검 요약]
총수익률: ____% / MDD: ____% / 총비용률: ____% / 재투자율: ____%
잔고 증가(납입 vs 수익): ___% : ___%
드리프트 최대치: ____%p / 리밸런싱: 날짜 __회, 밴드 __회
규칙 이탈: __건 / 규칙 준수도: __점
[핵심 인사이트 3]
1) __________ 2) __________ 3) __________
[내년 3줄 계획]
1) 비중/밴드: __________ 2) 납입/재투자: __________ 3) 헤지/채권: __________
10) 빈번한 오류와 해결책
- 벤치마크 과잉: 지수와 매달 비교하며 잦은 교체 → 연 1회 비교만, 코어 유지
- 비용 맹점: TER만 보고 스프레드 무시 → 체결 로그로 체감 비용률 계산
- 분배금 방치: 현금으로 누적 → 같은 날 납입금과 합산 재투자
- 기록 누락: “기억 의존” → 표준 템플릿으로 15분 내 작성
FAQ
벤치마크는 무엇을 쓰나요?
코어가 국내·미국·전세계로 구성됐다면 KOSPI200·S&P500·ACWI 가중 혼합 지수가 합리적입니다. 단일 지수로 단정하지 말고, 자신의 목표 비중에 맞춰 산출하세요.
손실 난 해의 리포트는 어떻게 작성하나요?
더 중요합니다. MDD·드리프트·규칙 이탈을 중심으로 원인을 찾고, 내년 밴드·채권·현금 완충 비율을 조정합니다. ‘중단 금지’ 원칙을 확인하고 납입 루틴을 유지하세요.
ETF를 교체해야 할 기준은?
지수 변경·운용보수 급격 인상·추적오차 악화·유동성 저하가 6~12개월 지속되면 대체 후보를 검토합니다. 일시적 성과 부진만으로는 교체하지 않습니다.
세금과 비용은 얼마나 자세히 적어야 하나요?
연간 합계와 체감 비용률, 계좌별 세후 수익률만으로도 충분합니다. 다만 내년 개선안을 세우려면 환전 수수료·스프레드 로그를 분기별로 최소 기록하세요.
마무리: 숫자·로그·달력, 이 세 가지면 충분하다
오늘 30분을 투자해 템플릿을 채우고, 내년 DCA 일정·분기 점검·연말 리밸런싱 주간을 캘린더에 고정하세요. 연간 점검 리포트는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미래의 실행을 위한 설계도입니다. 다음 11편에서는 초보자의 개별주 투자 체크리스트로 코어-위성 틀 안에서 소액 학습을 안전하게 하는 법을 다룹니다.